
봄 피크닉은 여기, 노란 뚝방마켓 3월 5일 개장 - 수공예 디자인 소품, 직접 재배한 농산물 등 다양한 상품 선보일 예정
전남 곡성군의 로컬 플리마켓 ‘뚝방마켓’이 3월 5일 새봄과 함께 돌아온다.
뚝방마켓은 2016년 주민들을 주축으로 시작했던 플리마켓이다. 옅은 시냇물이 흐르는 곡성천을 끼고 벚나무를 그늘 삼아 다양한 수공예품과 먹거리, 문화 공연 등을 즐길 수 있다. 마켓이 열리는 약 300m 둑방 거리에는 매회 평균 60팀 이상의 셀러가 참여할 만큼 꽤나 규모 있는 마켓으로 자리잡았다. 창작자들의 독특한 감성을 담은 디자인 소품, 농장에서 직접 만든 수제 요거트, 직접 재배한 건강한 지역농산물 등이 인기가 높다. 올해는 섬진강이 흐르는 깨끗한 곡성군의 장점을 살려 친환경 슬로우 푸드 관련 품목을 확대한다.
굳이 물건을 사지 않아도 지역민들과 여행자들 사이에서 뚝방마켓은 피크닉 장소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시골향 가득한 여유로움과 마켓 특유의 분주함이 만들어낸 낯선 조합이 독특한 미감을 느끼게 한다. 마치 신인상주의 화가 쇠라의 그림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과도 같은 풍경이다. 특히 마켓 거리를 휘감은 노란 그늘막은 뚝방마켓의 상징이 됐다. 단골 방문객들은 곡성에서 봄을 가장 먼저 알리는 것이 개나리꽃도 벚꽃도 아닌 노란 뚝방마켓이라고 말할 정도다.
각종 문화 공연과 전시도 뚝방마켓으로 발길을 이끈다. 문화장터를 표방하는 만큼 지난해 견생조각전, 사생대회, 뚝방라디오 등 매회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펼쳐졌다. 올해도 요가 클래스, 마리오네트 공연, 물 수제비 뜨기 등 방문객을 즐겁게 할 프로그램들과 크고 작은 이벤트를 계획하고 있다. 뚝방마켓 관계자는 “뚝방마켓은 큰 마음을 먹고 오는 곳도 아니고, 이것저것 복잡한 채비기 필요한 곳도 아니다. 별렀던 일 없이 발길 닿는 대로 가는 산책길처럼 편안하게 방문하셔서 살가운 강바람에 흔들리며 다가오는 새봄을 맞이하시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뚝방마켓은 오는 3월 5일부터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전남 곡성군 곡성읍 곡성천변(읍내리 832-29)에서 열리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곡성 기차당 뚝방마켓 협동조합(061-362-2753)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곡성군] www.jsghnews.com
----------------------------------------------------------------------------

곡성군, 신중년 희망일자리 참여기업 모집 - 중장년 신규 취업자에게 300만 원, 고용기업에는 500만 원 지원
곡성군이 3월 11일까지 신중년 희망일자리 장려금 지원사업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신중년일자리사업은 중장년의 취업 장려와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중장년 신규 취업자와 고용기업에 지원금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선정 기업에게는 최대 10개월 간 매월 50만 원의 고용유지금을, 중장년 취업자에게는 최대 10개월 간 매월 30만 원의 취업장려금을 지급한다.
올해 곡성군은 총 3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참가 신청일 기준 곡성군에 소재한 중소기업 및 중장년 취업자가 대상이다. 기업 규모는 5인 이상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이어야 한다. 단 영농 및 영어조합번인, 농업 및 어업회사법인, 지역 에너지 및 ICT기업,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청)가 지정한 대학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등은 상시근로자수 5인 미만 기업도 신청할 수 있다.
중장년 자격으로는 곡성군에 주소를 둔 만 40세 이상부터 69세 이하의 미취업자라는 요건을 만족해야 한다. 유의할 것은 대상기업 선정 이후 곡성군과 해당 기업과 업무 협약을 맺게 되는데 이 업무협약 이후에 신규로 채용된 중장년만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중장년 근로자는 해당 중소기업에서 일간지나 인터넷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모집해야 한다.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3월 11일 18시까지 곡성군 인구정책과 지역공동체팀(곡성읍 군청로 50, 061-360-2933)에 방문 또는 우편으로 신청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필요한 서류는 중장년 취업 채용 신청서, 중장년 취업 운영 계획서, 개인정보 이용 동의서, 국세 및 지방세 납세 증명서, 사업자등록증 사본으로 관련 서식은 곡성군 홈페이지 고시공고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곡성군] www.jsgh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