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례군, 전기 자동차 및 이륜차 민간보급 시행 - 승용자동차 16대, 화물차 8대, 이륜차 50대 총 74대 보급 - 최대 2천8백만원까지 지원, 4월 22일까지 접수
구례군은 502백만원을 들여 전기 승용자동차 16대, 화물차 8대, 이륜차 50대 총 74대 민간보급 사업을 시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전기자동차․이륜차 민간보급 지원사업 대상자는 공고일 이전부터 구례군에 3개월 이상 연속하여 주소를 둔 만 18세 이상 군민이나 법인 및 기업 등이다.
전기 승용자동차 16대는 취약계층 및 다자녀 가정 등에 2대, 법인․민간기관에 6대를 우선지원하고, 8대는 일반대상자에게 지원한다. 승용자동차 구매보조금은 보급 차종에 따라 최소 760만원에서 최대 1520만원까지 차등 지원된다.
전기 화물차 8대는 취약계층 및 다자녀 가정 등에 1대를 우선지원하고, 7대는 일반대상자에게 지원한다. 화물자동차 구매보조금은 보급 차종에 따라 최소 1320만원에서 최대 2820만원까지 차등 지원된다.
오는 3월 22일부터 3월 31까지 전기 승용차와 화물차는 자동차 판매점을 통해 구매 계약 후 판매점에서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시스템을 통해 신청하며 계획대비 신청 물량이 초과되면 추첨을 통해 대상자를 선정한다.
또한 전기이륜차 50대는 취약계층 및 다자녀 가정 등에 5대를 우선지원하고 45대는 일반대상자에게 지원할 계획이다. 전기이륜차 구매보조금은 차종별 최소 120만원에서 최대 330만원까지 지원되며 신청기간은 4월 13일부터 4월 22일까지로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시스템 접수순으로 대상자를 선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구례군청 홈페이지(www.gurye.go.kr) 고시/공고란에서 확인하거나 구례군 환경교통과(☎061-780-2154) 문의하면 된다.
김순호 군수는 “친환경 전기자동차는 배출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대기환경 개선에 효과가 큰 만큼 군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구례군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10개소 16기, 완속 충전기 17개소 25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충전시설을 확충할 방침이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구례군] www.jsghnews.com
----------------------------------------------------------------------------
 
구례군, 목공예 기능인 양성교육 ‘목조주택 짓기’ 성황 - 교육생 선발에 높은 경쟁률 기록 - 목조주택, 생활목공 DIY 등 전문화된 목공교육에 많은 관심 구례군은 목재문화와 목재산업 발전을 선도할 목공예 기능인 양성 교육생을 지난 3월 4일 선발하여 교육을 시작했다고 18일 밝혔다.
‘목조주택 짓기’ 양성교육은 매주 토요일반과 일요일반으로 나누어 총 2개반 12명을 모집했다. 모집 정원보다 많은 50명이 신청하여 4 대 1 넘는 높은 경쟁률을 보여주었으며, 공개 추첨을 통해 교육생을 선발했다.
교육 과정은 재료 선정, 쓰임, 구조의 기초부터 지붕·외부 벽체 마감 칠 작업까지 단계별 맞춤형 교육으로 진행된다.
이번 교육에는 청년부터 은퇴자, 귀농 귀촌인 등 남녀노소 고르게 관심을 보여 목재 교육의 높은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교육은 3월 6일부터 5월 23일까지 매주 토요일반과 일요일반으로 나눠 각각 12회 72시간으로 구례목재문화체험장에서 이루어진다.
현재 2회차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초구조 작업, 터파기 및 기초 주춧돌 놓기, 바닥장선 작업을 완료하며 순조롭게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김순호 구례군수는 “목재가 주는 안정감과 따뜻함을 배경으로 다양하고 전문적인 교육을 추진하여 많은 군민이 향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구례군] www.jsghnews.com
----------------------------------------------------------------------------

구례군, 과수 화상병 예방을 위한 사전 방제 당부 - 배 꽃눈 트기 전, 사과는 새가지가 나오기 전 적용약제 뿌려야 - 치료약제 없어 적기, 사전 방제 중요
구례군은 농촌진흥청 지침에 따라 배, 사과 재배 농업인을 대상으로 과수화상병 발생 예방을 위한 사전방제를 당부했다.
과수화상병은 식물방역법에 규정된 금지병해충으로 주로 사과, 배 등 장미과 식물에서 발생한다. 감염됐을 경우 잎‧꽃‧가지‧줄기‧과일 등이 마치 불에 탄 것처럼 붉은 갈색 또는 검정색으로 변하며 마르는 증상을 보인다. 아직까지 치료 약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 배는 꽃눈이 트기 직전, 사과는 새로운 가지가 나오기 전에 등록약제를 뿌려야한다. 구례군은 과수화상병 미발생 지역으로 3월 중순부터 4월 초까지 동제화합물이 포함된 작물보호제를 1회 살포하면 된다.
약제를 뿌린 뒤 발생하는 약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때 방제하고 등록약제에 표시된 표준 희석배수를 준수하여 농약 안전 사용법을 확인 한 뒤 고속분무기(SS기), 동력분무기 등을 이용하여 작업해야 한다.
또한 석회유황합제, 보르도액 등 다른 약제를 섞어서 사용하면 약제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혼용해서는 안 된다. 만일 과수원에 동제화합물보다 석회유황합제를 먼저 뿌려야 할 경우 석회유황합제 처리시기를 앞당기고, 석회유황합제 살포 7일이 지난 뒤 동제화합물로 방제해야 약제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과수화상병이 2015년 처음 발생한 뒤, 2020년까지 1,092농가 655.1ha에서 발생했다. 특히 2020년에는 기존 과수화상병 발생 지역 외에 새롭게 6개 시·군에서 발생하여 전체 17개 시‧군(경기 평택, 파주, 안성, 연천, 양주, 이천, 광주, 용인, 강원 원주, 평창, 충북 충주, 제천, 음성, 진천, 충남 천안, 아산, 전북 익산)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김순호 구례군수는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한 약제 방제와 함께 과원에 출입하는 작업자 및 작업도구에 대한 수시 소독을 통해 병원균의 이동을 막는 것도 중요하다” 며 과원에서 농작업 중에 과수화상병 의심 증상을 발견했을 경우 즉시 농업기술센터(780-2095)에 신고 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군은 지난 12일까지 배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과수화상병 방제 약제 공급을 완료하였고, 지속적인 예찰과 홍보를 통해 과수화상병의 관내 유입을 막고 과수산업 보호를 위해 힘쓸 계획이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구례군] www.jsgh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