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곡성군, '갤러리107' 왜 인자사 생겼을까?
곡성군 갤러리107이 작은 시골마을의 풍경을 바꾸고 있다.
“왜 인자사 생겼을까잉. 없을 때는 필요한 줄 몰랐는디 있응게 읍내 때갈이 달라진 것 같애.”
곡성읍에서 작은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A씨는 갤러리107 단골손님이다. 전시작품이 바뀌는 날이면 점심시간 등 틈나는 대로 방문해 여유를 즐기다 온다. 어떤 의미가 담겨있는지는 아리송하지만 작품마다의 색채와 선, 형태 등을 보면 잠시 다른 세상에 온 것 같다고 한다.
지역민 C씨는 미술을 전공했다. 하지만 생활에 쫓겨 틈틈이 취미로만 그림을 그렸을 뿐 개인전을 열어본 적이 없다. 그러다 갤러리107이 생기면서 난생 처음 개인전을 열었다. 혼자서 그려왔던 작품을 세상에 내놓는다는 것이 부끄럽기도 했지만 설레는 마음에 다시 꿈 많던 미술학도로 돌아간 것 같다고 했다. 주변 사람들은 감춰왔던 C씨의 재능에 아낌없이 박수를 보냈다.
민선 7기 곡성군은 온전한 일상을 회복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시골에서도 문화와 교육 등 고양된 삶을 영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갤러리107과 컨테이너 갤러리 2동은 그러한 생각의 출발점이다. 지역 내 문화 소비자와 창작자의 욕구를 채워주는 것은 물론 예술을 통해 지역의 수용성과 창의성을 높여 도시로서의 잠재력을 키워간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처음에는 반신반의했다. 인구 3만도 안되는 작은 시골에 예술과 문화에 대한 수요가 얼마나 되느냐는 생각이었다. 하지만 갤러리107은 군민들의 일상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들었고, 지난해 5월 정식 개관한 이후 약 8개월 만에 지역의 대표 문화시설로 자리매김했다.
그동안 갤러리107은 외부 유명 작가의 기획전에서부터 지역 작가 전시회까지 다양한 작품으로 군민과 관광객을 만났다. 올해도 벌써 전시일정이 꽉 찼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강레오, 오정훈 작가의 옻칠 공예 전시가 끝나면 바로 곡성미술인 창립전이 계획돼 있다. 이후에도 매달 2~3차례 쉼없이 전시회가 열린다.
인기에 힙입어 곡성군은 올해 컨테이너 갤러리 2곳을 더 조성하기로 했다. 컨테이너 갤러리는 길거리에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시설로 곡성군이 지난해 갤러리 107과 함께 읍내 2곳에 조성했다. 이러한 문화시설이 점차 확충된다면 시가지의 매력이 높아져 관광객 유입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술을 지역 교육 등과 연계하는 방안도 계획돼 있다. 올 7월부터 8월까지‘갤러리107 SUMMER ART 챌린지’를 개최한다. 학생과 일반으로 나눠 각각 14일 동안 예술을 직접 창작하고 전시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학생들은 유명 예술인으로부터 회화 및 부조를 배우게 되며, 일반 군민 참가자는 지역 작가와 함께 집 문패나 풍경 등을 제작하게 된다.
갤러리 관계자는 “문화는 삶을 변화시키는 힘이 있다. 갤러리107을 통해 군민들의 삶이 조금이라도 풍요로워질 수 있도록 계속해서 더 좋은 전시와 프로그램을 선보이겠다.”라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곡성군] www.jsghnews.com
----------------------------------------------------------------------------

곡성군, 일하는 청년들에게 주거비 120만원 쏜다
곡성군(군수 유근기)이 일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연간 120만원의 주거비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오는 1월 25일부터 2월 19일까지 곡성군은 청년 취업자 주거비 지원사업 대상자를 모집한다. 선정 시에는 1인당 월 10만원씩 12개월 치 주거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금 지급은 분기별로 이뤄진다.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일단 전라남도 내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부터 만 39세 이하 청년 근로자 또는 청년 사업자가 대상이다. 근로자의 경우 최근 6개월 중 3개월 이상 근로 중이어야 하며, 사업자의 경우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전에 개업해 3개월 이상 사업체를 운영 중이어야 한다.
주거형태는 전세(대출금 5천만원 이상) 또는 월세(60만원 이하)에 거주하는 무주택자를 조건으로 한다. 또한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1인 가구 기준 월 274만원)여야 신청이 가능하다.
모든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유사한 지원을 받고 있으면 선정될 수 없다. 저소득층 주거급여대상자, LH 임대주택 공급사업 대상자, 주택도시보증공사 주거관련 금융지원 대상자, 기타 정부 및 지자체 주거관련 사업 대상자가 제외 대상이다.
곡성군은 접수된 신청서를 검토해 오는 3월 대상자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곡성군 홈페이지(https://www.gokseong.go.kr/) 고시공고란 또는 곡성군 미래혁신과(061-360-292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곡성군] www.jsgh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