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file/tb_06_05/3696408253_COQmwd5f_12.jpg)
만석꾼 의병지도자 김병희 父子 행적 발굴 경남독립운동연구소, 영남 의병에 군자금 50억 지원…최신 화기 무장 맹활약 양산 출신 두 부자 통도사 인근서 순국 확인…하동 정재상 사학자 서훈신청
하동의 한 재야사학자가 을사늑약(1905년) 이후 영남 동부지역에서 일제와 맞서 싸우다 순국한 양산출신 만석꾼 의병지도자 김병희(金柄熙·1851~1908)·교상(敎相·1872~1908) 부자의 항일행적이 담긴 문건을 순국 109년 만에 발굴해 정부에 서훈을 신청했다.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 소장은 LH토지주택박물관에 소장 중인 ‘진중일지’(1908년 일본군 보병작성) 등에서 양산 김병희 부자가 영남 동부지역 의병장 서병희에게 군용금 5000엔(현재 50억원 상당)을 지원했다고 적시된 문건을 16일 공개했다.
그는 또 김 부자가 영남지역에서 의병 200여명을 규합해 양총(미제 군총)과 권총, 대구경총 등의 최신 화기로 무장하고 양산·밀양·울산·부산·경주·청도 일대에서 일제와 맞서 싸운 문건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김병희 의병장 순국 후 1908년 세운 묘비(땅속에 묻혀 있었던 비석을 묘 이장을 하면서 최근 발굴) 비문과 제적등본(김교상 사망일자 확인), 경주김씨 족보 등에서 그의 구체적 행적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공식문건에서 김교상의 사망 확인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리고 군자금 5000엔은 당시 전국 최다 금액이라 할 수 있다. 두 부자는 이같은 일로 일본군에 체포돼 1908년 6월 통도사 인근에서 57세와 36세에 각각 총살됐다.
이번 서훈신청과 관련, 정 소장은 “그동안 김 부자에 관한 기록은 국가기록원이 소장한 ‘폭도에 관한 편책’, 허정(1896~1988)의 ‘내일을 위한 증언’, 양산지역 향토지 등에 부자의 활약상이 기록돼 있으나 사료가 충분치 못해 정부 서훈을 추진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이번에 김병희 의병장의 후손 김중경 오경농장 회장과 엄원대 가락 양산역사문화연구소 연구실장, 이형분 수석연구원, 김규봉 양산향토사연구가, 최영자 경남독립운동연구소 연구실장이 7년간에 걸친 사료수집 노력으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사료 수집에 힘써온 후손 김중경(84‧양산시 상북면)씨는 “선대 할아버지가 일제와 맞서 싸우다 순국했다는 이야기는 집안 어른들을 통해 알고 있었으나 뚜렷한 행적을 찾지 못해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김 씨는 “하지만 이번에 기록을 찾아 직접 확인하니 할아버지에 대한 존경심과 그동안 관심을 갖지 못한 후손으로서 너무 죄송스럽다”며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두 할아버지의 의로운 행적이 국가로부터 인정받아 빛을 봤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 김병희‧김교상 부자는 어떤 인물 = 김병희의 나이는 당시 57세, 김교상은 36세였다. 적지 않은 나이에 만석꾼의 재산과 학식, 덕망을 두루 갖춘 인물이었다.
김병희는 젊었을 때 동몽교관(童蒙敎官·지금의 초등학교 교사에 해당)으로 많은 후진을 양성한터라 영남 동부지역에서의 중추적 역할을 했던 인물 중에는 김병희의 제자가 많았다. 그로 인해 자연스레 김병희를 따르는 지역 인사 또한 많았다.
김병희는 나라가 위기에 닥치자 의병을 모으는 격문을 아들 김교상을 통해 인근 각 군에 돌렸다. 이를 전해들은 제자와 지인들은 선생의 뜻에 적극 동참, 구국의 대의에 목숨 걸고 투쟁에 나선 것이다. 이들은 무려 200여명에 이르렀다.
김병희는 부친 김재복(金載馥)이 이룬 만석지기 재산을 모두 군자금으로 쓰며 신식무기를 구입하고 포수를 고용해 사병을 양성했다. 그리고 경남창의군에 거액의 군자금과 병력을 지원하는데 주저하지 않았으며 의병들의 큰 스승이자 정신적 지도자였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은 양산․울산 등지에서 많은 활약을 한 서병희에게 군자금을 지원한 인물이 김병희이였음이 일본군이 작성한 문건에 잘 나타나 있다.
그리고 아들 김교상은 의병장으로 활약하며 좌삼리 서병희 의진과 합세해 영남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항일투쟁에 나서 일제에 큰 타격을 가하기도 했다.
일제는 김교상 의진을 일컬어 ‘세력이 왕성했다’, ‘울산 언양․양산에 출몰해 횡포가 심했다’고 밝혀 김교상 의진의 기세가 만만치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제를 향해 결사항전 했음을 의미한다.
또 김교상 의진은 최신 화기로 무장했다. 당시 양총(洋銃·대한제국 군대가 사용했던 서양 신식무기인 군총)과 권총(拳銃), 스나이더총(미국산), 마르티니헨리소총(영국산), 대구경총 등의 화기를 갖췄다.
이로 인해 일본군은 김교상 의진이 언제 나타나 그들의 목숨을 앗아갈지 모르는 공포의 대상이었다. 따라서 이들 부자는 반드시 제거해야만했다.
일제는 1908년 6월 양산군 상북면에서 김병희‧김교상 부자를 체포 후 철사 줄로 손바닥을 뚫어 묶어 3일간 양산 저자거리로 끌고 다니다 김교상은 20일 상북면 대석골에서, 김병희는 이틀 후인 22일 양산 통도사 앞산에서 57세와 36세에 각각 총살했다.
그리고는 곧바로 서병희(건국훈장 독립장·1990) 의병장 체포에 주력했으나 서병희는 김병희 부자 피살 직후인 7월 흩어진 의병 50여명을 모아 경남 산청의 박동의 경남창의군에 들어가 일제에 결사 항전하다 1909년 순국했다.
◇ 분석 및 해설 = 정재상 소장의 분석에 의하면 김병희(당시 57세) 의병장은 일찍이 동몽교관에 올랐을 만큼 학식을 갖췄고, 부친 김재복이 모은 만석꾼의 재산을 군자금으로 제공 하는데 주저함이 없었다.
그리고 아들 김교상(당시 36세)은 서병희(당시 41세) 의병장과 합세해 일제에 큰 타격을 가했다. 서병희 의병장이 양산지역에서 큰 활약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김병희 부자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그 근거로 김병희 부자 피살 직후에는 양산에서 의병 활동을 하지 못하고 곧바로 지리산으로 들어가 박동의 경남창의군에서 활약했다. 더 이상 군자금 조달의 어려움과 좁혀오는 포위망을 견디지 못했을 것이다. 또 두 사람의 관계는 특별했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김병희는 동몽교관으로 학동을 가르쳤다. 두 사람의 나이 차이는 16세이며, 서로 1㎞ 이내에 살았다. 서병희는 어린시절 한학을 공부했다고 했다. 이를 살펴볼 때 김병희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였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서는 거액의 군자금 5000엔을 지원하기는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김병희는 서병희의 영민함과 의기로움을 일찍이 보았으며, 두 사람은 평소 끈끈한 믿음 속에 목숨을 걸고 일제에 항거했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서병희가 살았던 좌삼마을에는 학자(學者)터가 있었고 현재는 좌삼초등학교가 있다.
또 김병희 부자는 최신 화기로 무장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의병부대에서는 보기 힘든 양총과 권총, 스나이더총, 마르티니헨리소총, 대구경총 등의 화기를 갖췄다. 이는 타 의병부대와 비교했을 때 전국 최고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당시 의병의 주력 무기는 화승총(火繩銃)과 도검(刀劍)류였다. 이중 화승총은 1정당 3~4명이 한 조를 이뤄 사격을 했다. 이처럼 단독사격이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의병 성원 모두가 총기를 소지할 필요가 없었다. 양총은 화승총의 20배 이상의 화력을 갖춘 무기다.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Vzj7y3yhI5D6VOVp9H1fmhYGSI.jpg) ▲ 진중일지(김교상이 서경원에게 군자금 5000엔을 제공했다는 내용, 1908년)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bmbBKwQtqd6In9i6WZz8B.jpg) ▲ 제적등본(김교상이 사망했다고 적시된 제적등본, 1908년)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LE1HImHiHEfH6UL6ODUePuN.jpg) ▲ 김병희 의병장 묘비(고리원자력발전소 부지조성으로 인한 묘지이장을 하면서 발굴돼 빛을 보게 됐다.)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xoZEjcCRYK.jpg) ▲ 정재상 소장이 양산시 동면 산지마을 경주김씨 재실에 설치돼 있는 김병희 의병장 묘비(1908년)를 살펴보고 있다.
[지리산고향뉴스/임만규 기자] whddnd9220@naver.com
--------------------------------------------------------------------------------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GmIg7gGwBkq2lcNm2vVAjLL9.jpg)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pV2hrChUYAWKXYhst6SDWliNm.jpg)
하동 위기 청소년 신비로운 해양생태 체험 하동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일환 여수 아쿠아플라넷 체험
하동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지난 14일 위기 청소년 2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동반자 체험프로그램 ‘함께 걸어가는 세상’ 체험활동을 실시했다고 16일 밝혔다.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은 청소년 전문가들이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을 직접 찾아가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상담, 정서적 지지, 기관 연계 등 개별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청소년동반자 체험활동은 청소년들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해양생물을 관찰할 수 있는 여수 아쿠아플라넷에서 진행됐다.
청소년들은 눈앞에서 다양한 해양생물의 움직임을 볼 수 있는 아쿠아리움, 죠스·해적선 등의 입체테마 미술관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박물관은 살아있다, 해양동물 공연 등을 차례로 체험했다.
특히 전문 해양조련사로부터 펭귄, 바이칼 물범, 바다사자, 식인물고기 피라냐, 돌고래 벨루가 3남매 등 다양한 해양생물에게 먹이 주는 방법과 그들의 특성을 설명 들으며 교과서에서 접한 해양생물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배웠다.
여러 가지 힘든 환경에 처해있거나 심리적 어려움 등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은 청소년동반자와 함께하는 이번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심리적 안정은 물론 유사한 환경에 처한 또래들과의 만남으로 유대감을 형성하는 기회가 됐다.
체험활동에 참여한 김모 군은 “장래 희망이 해양생물 조련사인데 초대형 수조에서 펼쳐지는 아쿠아 판타지 쇼가 매우 인상적이었다”며 “앞으로 내 꿈을 실현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하동군에는 현재 청소년동반자 3명이 활동하고 있는데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은 직접 신청하거나 보호자·교사·지역사회에 의뢰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하동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883-3000)로 문의하면 된다.
[지리산고향뉴스/임만규 기자] whddnd9220@naver.com
--------------------------------------------------------------------------------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7yonnytqpSY.jpg)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dCKfj13lKkzGCRZSH9LSBNIwpNjMx.jpg)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XbECMvpf8d8fyFTs.jpg)
하동 금남면 다문화가족 한국문화체험 하동군 금남면, 바르게살기 주관 여성결혼이민자 전주 한옥마을 체험 활동
하동군 금남면은 지난 주말 관내 다문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전주 한옥마을 일원에서 한국문화체험 기회를 가졌다고 16일 밝혔다.
금남면바르게살기여성위원회(위원장 박한숙)가 주관한 이날 행사는 다문화가정 여성들에게 한국의 전통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사회의 조기 적응과 행복한 가정을 꾸리는데 도움을 주고자 마련됐다.
이날 체험 행사에는 관내 여성결혼이민자 15가정과 바르게살기 여성회원 등 40여명이 참여해 한복체험, 한지공예체험 등 한국문화를 직접 체험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체험에 참여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오랜만에 가족 간의 화합과 사랑을 확인하는 소중한 시간이 됐다며 감사한 마음을 표했다.
박한숙 위원장은 “늘어나는 다문화 세대의 문화적 이질감을 조기에 해결하고 더불어 함께하는 사회풍토 조성을 위해 한국문화 체험행사를 마련했는데 반응이 매우 좋았다”며 “앞으로도 결혼이민자들에게 도움을 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임만규 기자] whddnd9220@naver.com
--------------------------------------------------------------------------------
정신건강의 날 기념 경남도 체육대회 참가 하동군, 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 회원·가족 30여명 남해군 주최 체육대회에
하동군은 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 회원 및 가족 30여명이 오는 20일 남해군 실내체육관에서 열리는 2017 정신건강의 날 기념 경남도 체육대회에 참가한다고 16일 밝혔다.
군은 우울증 및 정신질환으로 평소 외출 기회가 적고 소외감을 느끼기 쉬운 중증 정신질환자 및 그 가족에게 체육대회 행사를 통해 정서적 이완과 자아통합 및 상호협동심을 기르고 사회적응력을 향상시키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3개 읍면별 참가 희망자는 행사 당일 오전 8시 30분 남해로 이동해 타악기 공연, 건강체조 공연 등의 식전행사를 관람하고 개회식, 한마당잔치, 한마음운동회, 시군별 장기자랑 등 공식행사에 참여한다.
또한 정신장애인 재활작품 감상 및 정신건강증진 체험, 타투 스티커, 간식타임, 돌려라 룰렛, 민속체험, 바리스타 체험 등 부대행사 체험을 통해 성취감과 자신감을 고취하는 계기로 삼는다.
체육대회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하동군보건소 건강지원담당부서(880-6623)로 문의하면 된다.
이환근 보건소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중증 정신질환자와 가족의 행복한 추억 공유로 유대감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자살 예방 및 정신건강증진사업의 일환으로 매년 행사에 적극 참가하겠다”고 밝혔다.
[지리산고향뉴스/임만규 기자] whddnd9220@naver.com
--------------------------------------------------------------------------------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nO2SYJS3ufwDuICSDJXZ5V3E3.jpg)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c7kzFSuVS4K9hnESXSK.jpg)
뒤뜰 야영장 캠핑교실로 추억 만들기 하동 양보초, 1박 2일 캠핑교실 운영…야영수련 활동·레일바이크 체험 실시
하동 양보초등학교(교장 강원규)는 학생들의 강인한 심성과 호연지기를 길러주고자 지난 12·13일 1박 2일간 4∼6학년을 대상으로 뒤뜰야영장 캠핑교실을 운영했다고 16일 밝혔다.
첫날 ‘만남의 날’은 야영장 입소식에 이어 학생들의 건강과 안전한 야영수련 활동을 위해 숙지해야 할 7대 안전교육과 연계한 안전지도를 실시했다.
그리고 텐트치기, 캠핑장비 다루기, 위기상황 탈출법, 내가 최고의 셰프, 신나는 캠핑놀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갑작스런 재난상황에서 대처법을 익히고 친구들과 어울려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시간을 가졌다.
다음 날 ‘내 고장 사랑 Day’는 유치원과 전교생을 대상으로 지난 봄 북천 꽃양귀비축제 때 개통한 하동 레일바이크 체험학습을 실시했다.
야영수련활동과 연계한 이번 체험학습은 창의적 체험활동자원지도(CRM)를 활용해 학생들에게 소중한 추억을 심어주고 지역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키워주고자 마련됐다.
학생들은 폐선된 경전선 옛 북천역에서 열차를 타고 옛 양보역까지 가서 양보역에서 레일바이크를 갈아타고 북천역까지 되돌아왔다.
교직원과 학생들이 4인 1조를 이뤄 레일바이크를 타고 오면서 주변의 자연 경관을 감상하고 이명터널의 화려한 경관조명과 하동의 사계절 풍경 사진을 보며 감탄했다. 또한 북천역에 있는 작은 갤러리에서 하동을 대표하는 꽃양귀비 등을 그린 미술작품을 감상했다.
대부분의 학교가 수련활동을 위탁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가운데 양보초등학교는 학교에서 실시해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식사 준비를 하고 활동을 이끌어 나가도록 해 이런 과정 속에서 자기 주도적 활동이 되도록 했다.
학생들은 이번 활동을 통해 집을 떠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기르고 단체생활 속에서 협동·배려·질서·극기 등 4가지 정신을 함양하는 기회를 가졌으며, 평소 깊이 생각하지 못했던 부모와 가족에 대한 고마움을 되새기며 효의 의미를 일깨우는 계기가 됐다.
[지리산고향뉴스/임만규 기자] whddnd9220@naver.com
--------------------------------------------------------------------------------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okugWjMfAq1uRv8BOpK.jpg)
![](http://www.jsghnews.com/data/cheditor4/1710/Wgf5q6Fhzwtfyfi.jpg)
하동 재가장애인 거제·통영 나들이 하동군, 장애인·가족·자원봉사자 등 70여명…거제 돌고래쇼·통영 거북선 관람
하동군은 평소 외출이 어려운 재가 장애인을 대상으로 16일 거제·통영시 일원으로 2017 바깥나들이 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바깥나들이는 각종 장애 때문에 평소 외출 기회가 적고 소외감을 느끼기 쉬운 재가 장애인에게 나들이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 적응력을 높이고 재활의지를 고취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만성질환 등을 앓고 있는 재가 장애인·가족 50명과 군청 직원·자원봉사자 20명 등 70명이 함께 했다.
이날 오전 두 대의 버스에 나눠 타고 하동을 출발한 일행은 거제 씨월드에 도착해 씨월드의 마스코스인 돌고래 쇼를 관람하며 즐거운 한때를 보냈다.
이어 이들은 거제의 현지식당에서 점심식사를 한 뒤 통영으로 이동해 통영항에 있는 거북선을 구경하고 귀가했다.
장애인들은 군청 직원과 자원봉사자의 도움을 받으며 큰 불편 없이 나들이를 즐겼으며, 행사 후에는 일정 중 가장 좋았던 점과 내년 나들이 시기 및 장소 등에 대한 설문조사에 응했다.
행사를 주관한 보건소 관계자는 “장애인들이 모처럼 실시한 외출을 통해 서로 간의 고충을 나누고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니 보람 있었다”며 “나들이를 통한 삶의 여유와 어울림을 갖도록 앞으로도 같은 행사를 계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임만규 기자] whddnd9220@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