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에서 미리 살아보기’귀농·귀촌 청신호 하동군, 1기 7가구 3개월간 미리 살아보기 수료식…2가구 귀농·귀촌 계획
귀농·귀촌에 앞서 농촌의 상황을 미래 체험해보는 ‘농촌에서 미리 살아보기 프로그램’이 귀농·귀촌의 청신호를 예고하고 있다.
하동군은 지난 10일 화개면 의신베어빌리지에서 ‘농촌에서 미리 살아보기 프로그램’ 1기 수료식을 가졌다고 14일 밝혔다.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은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을 대상으로 농촌에 임시 거주하며 일자리와 농촌생활 등을 체험하고, 지역 주민과 교류하는 기회를 통해 농촌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사업이다.
군은 올해 3월부터 6월까지 3개월 동안 의신베어빌리지 농촌체험휴양마을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여기에는 서울·부산·대구 등에 거주하는 도시민 7가구 7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하동에 거주하면서 개인텃밭 가꾸기, 산나물 채취 작업 등과 같은 영농체험과 예비귀농·귀촌을 위한 각종 교육 참여, 선진농장 방문 등을 통해 농업정보를 습득하고, 지역 봉사활동 참여와 지역단체와의 간담회 등을 통해 지역민과 교류했다.
3개월 동안 다양한 농촌체험을 한 수료생 중 2가구 2명은 하동군으로 귀농·귀촌을 계획하고 있으며, 그 중 1가구는 군에서 운영하는 예비귀농인 임시거주시설인 ‘귀농인의 집’을 연계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문호명 농촌진흥과장은 “농촌에서 살아보기를 통해 도시민 참가자들이 농촌을 이해하고 배워 성공적인 농촌 정착의 발판을 마련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귀농·귀촌을 하는 분들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하동군] www.jsghnews.com
----------------------------------------------------------------------------

하동군, 상반기 1기분 자동차세 부과 하동군, 자동차세 1만 7565대 17억 8000만원 부과…이달 말까지 납부해야
하동군은 올해 상반기 1기분 자동차세 1만 7565대, 17억 8000만원을 부과했다고 14일 밝혔다.
납세의무자는 6월 1일 과세기준일 현재 자동차 등록원부상 소유자로서 2022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보유기간에 대한 세금으로, 신규·이전 등록한 경우 보유한 기간만큼만 부과되며 연간 납부할 세액이 10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6월 전액 부과된다.
연세액을 1월과 3월에 선납한 차량은 올해 정기분에는 과세되지 않으며, 하반기 2기분 자동차세를 6월에 선납하면 12월에 부과될 자동차세의 10%를 공제해 준다.
대상자는 이달 30일까지 금융기관의 CD-ATM기기나 인터넷 위택스(wetax.go.kr), 인터넷지로, 가상계좌 입금, 군청 재정관리과 및 읍·면사무소 신용카드 납부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납부하면 된다.
자동이체 신청자 또는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앱을 이용한 전자송달 신청자는 각 500원(최대 1000원)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고지서에 기재된 지방세입계좌로 지방세를 납입할 경우 모든 금융기관에서 이체수수료 없이 지방세 납부가 가능하다.
자동차세 납부기한을 놓칠 경우에는 3%의 가산금을 더 납부해야 하며, 자동차 압류와 번호판 영치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그 외 추가로 자동차세에 대해 궁금한 사항은 하동군 재정관리과(055-880-2275)로 문의하면 된다.
군 관계자는 “납세자의 납부 편의를 위해 가상계좌, 지방세입계좌, 인터넷 납부서비스 등을 적극 활용해 달라”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하동군] www.jsghnews.com
----------------------------------------------------------------------------

하동 치매요양원 어르신에 미용 봉사 하동군재능기부봉사단, 대한미용사회 하동군지부와 6월 나눔 미용실 운영
하동군재능기부봉사단은 (사)대한미용사회 경남도지회 하동군지부 회원 7명이 참여한 가운데 4월 섬진강사랑의 집, 5월 노량실버타운에 이어 지난 휴일 알프스하동 치매요양원에서 6월의 나눔 미용실을 열었다고 14일 밝혔다.
싹둑싹둑! 행복가득 나눔 미용실은 하동군재능기부봉사단과 대한미용사회 하동군지부가 연계해 외출이 곤란한 장애인·노인 등 시설 이용자들의 청결과 심리적 지원을 통해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미용분야 재능기부 봉사활동이다.
또한 감염 취약계층인 복지시설 입소자들을 대상으로 한 만큼 방역수칙을 준수했으며 월 1회 주기적인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날 봉사활동에 참여한 김지영 회장은 “머리카락을 다듬으며 같은 사람으로서 눈을 맞추고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활동 내내 웃음이 떠나지 않았다”며 “바쁜 와중에도 늘 시간을 내 활동에 참여해주는 회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하동군] www.jsghnews.com
----------------------------------------------------------------------------

옥종농협, 농업인 권익보호 무료 법률상담 하동 옥종농협, 농업인 법률상담봉사단 초청 취약계층 조합원 대상 1대1 상담
하동 옥종농협 (조합장 정명화)은 지난 10일 ‘농업인 법률상담봉사단’을 초청해 관내 농업인·취약계층 등 조합원 18명을 대상으로 농업인 권익보호를 위한 무료 법률상담을 실시했다고 14일 밝혔다.
농협중앙회 소속 변호사로 구성된 ‘농업인 법률상담봉사단’은 법률적 도움이 필요한 농업인을 직접 찾아가 민사·가사·형사·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1대 1 맞춤형 법률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한법률구조공단과 연계해 소송구조까지 무료로 지원하고 있다.
무료 법률상담을 받은 농업인은 “그동안 끙끙 앓고 있던 썩은 이가 빠진 것처럼 속이 시원하다”며 “법률지식에 대한 어려움과 변호사 상담 비용 등으로 부담이 컸는데 옥종농협에서 무료 법률상담을 진행해주셔서 너무 감사하다”라고 말했다.
정명화 조합장은 “농업인 법률상담봉사단을 통한 무료 법률상담으로 농업인들의 법률 고충을 들어드리고 궁금증을 풀어드려 기쁘다”며 “앞으로도 농업인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힘쓰겠다”라고 전했다.
옥종농협은 이동 상담실 개최뿐만 아니라 농업인 행복버스, 농업인 법률상담봉사단,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영농철 일손돕기 등과 같은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농업인 복지 향상에 힘쓰고 있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하동군] www.jsghnews.com
----------------------------------------------------------------------------

카멜레온 타고 행복마을학교로 떠나요 하동 적량초, 찾아가는 경남행복마을학교 창의·융합체험 교실 카멜레온 프로그램 운영
하동 적량초등학교(교장 박말숙)는 전교생과 함께 지난 10일 작은 학교로 찾아가는 경남행복마을학교의 창의·융합체험교실 ‘카멜레온’ 프로그램을 운영했다고 14일 밝혔다.
‘미래로 AI 교실’에서는 적량초등학교의 중점 교육활동인 인공지능(AI)교육 선도학교 운영과 연계한 SW코딩·메이커 교실을 열어 체험중심의 미래형 수업을 진행했다.
3D 모델링 프로그램으로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3D 모형을 직접 디자인하고, 3D 프린터를 이용해 실물로 출력해 봄으로써 머릿속 생각이 현실로 구현되는 모습을 직접 경험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대로 티셔츠를 출력해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나만의 소중한 기념품까지 직접 제작해보는 기회도 가졌다.
‘카멜레온’ 체험 버스에서는 목공예 교실을 열어 내 손으로 직접 생활용품을 만들어 쓰는 ‘DIY(Do It Yourself) 빵도마 만들기’ 체험을 운영했다.
목공 전문 마을교사에게 목제품이 생산되는 과정과 제작 방법을 배우고 직접 만들어 보는 과정에서 배움과 삶이 연결되는 소중한 경험을 선물했으며, 학교와 마을이 만나 교육공동체와 소통하고 협력하는 진정한 의미의 배움중심의 수업이 운영됐다.
‘카멜레온’ 프로그램에 참여한 2학년 이루비 학생은 “처음 보는 카멜레온 버스에서 직접 나무로 빵도마를 만들어서 기뻤다”며 “사랑하는 엄마에게 선물하고 싶고, 다른 프로그램도 더 많이 해보고 싶은데 시간이 짧아서 조금 아쉬웠다”고 체험소감을 밝혔다.
적량초등학교는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소통하며 학생들의 꿈과 끼를 펼치는 ‘밤하늘 북두칠성 적량 행복 교육과정’을 알차게 운영해나갈 예정이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하동군] www.jsgh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