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다화 심각한 섬진강 살리기 행정력 집중 하동군, 재첩 서식지 축소…모래톱 준설·대정부 건의 권익위 탄원 등 추진
섬진강 유지유량 감소로 강 하구의 바다화가 갈수록 심각해짐에 따라 하동군이 재첩 어업인의 생계터전인 섬진강을 살리고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8일 하동군에 따르면 섬진강 상류댐 및 다압취수장 건설로 하천 유지유량이 줄어 강 하류에 퇴적토가 쌓이고 해수유입으로 염화현상이 심화하면서 재첩 폐사와 서식지 감소로 어업인의 생계에 막대한 타격을 주고 있다.
실제 섬진강 하구의 염분 농도가 재첩이 폐사하는 20psu(psu는 해수 1㎏당 염분농도)까지 상승하면서 2001년 646t이던 재첩 생산량이 2016년 202t으로 3분의 1이상 급감해 재첩산업에 종사하는 1000여명이 생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하동군은 재첩서식지 확대를 위해 모래톱을 준설하고 수계복원을 위한 대정부 건의, 국민권익위원회 탄원 등 섬진강을 살리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군은 먼저 갈수록 줄어드는 강 하구의 재첩 서식지 확대를 위해 2014년부터 하동읍 신기, 광평, 두곡지구에 섬진강 모래톱 준설사업을 시행해 2017년까지 총 9만 6000t의 모래를 준설했다.
군은 이어 2015년 11월 섬진강을 끼고 있는 인근 광양시·구례군 등 3개 시·군 명의로 섬진강 수계복원을 위한 대정부 건의문을 만들어 청와대와 국회 등에 제출했다.
또 그해 12월과 이듬해 2월 환경부, 국토교통부, 영산강홍수통제소, 한국수자원공사 등 유관기관을 차례로 방문해 대정부 질문에 대한 후속 조치를 촉구하는 등 수계복원을 위해 힘을 쏟았다.
그리고 지난해 4월에는 남해안남중권발전협의회 소속 9개 지방자치단체 시장·군수 명의로 섬진강 생태보전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채택해 정부 관련부처에 보내기도 했다.
군은 하천 유지유량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에도 국가수자원정책으로 인한 많은 어려움과 한계에다 재첩 폐사가 계속 이어지자 지난해 9월에는 재첩어업인 975명이 국민권익위원회에 탄원서를 제출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국민권익위원회는 그동안 하동군을 비롯해 수자원공사, 영산강유역환경청, 한국수력원자력, 영산강홍수통제소 등 유관기관과 5차례의 대책회의와 영산강유역환경청장 주재 대책회의 5회를 거치면서 단기·장기 대책을 협의 중이다.
그리고 어업인 간에 최종 합의된 국민권익위 조정서에 대해 유관기관과 최종 합의 시 환경영향조사를 착수할 예정이며, 용역결과에 대해서는 소관 정책과 업무에 반영될 예정이다.
군과 어업인들은 현재 수자원공사과 홍수통제소에 섬진강유역 댐별 여유수량 즉시 방류와 다압취수장 취수용량 조정, 섬진강 하류 염분측정기 설치를 요구하고 있다.
그동안 군의 이러한 지속적으로 요구에 힘입어 지난달 24일부터 섬진강댐 재개발사업으로 확보한 하루 17만 8000t이 섬진강 하류로 내려오고 있다.
군 관계자는 “최근 물관리 일원화 관련법이 국무회의를 통과하면서 하천관리를 제외한 수량, 수질, 재해예방 등 대부분의 물 관리 기능이 환경부로 이관되므로 섬진강 수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환경을 고려한 통합적 물 관리 체계가 확립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임만규 기자] 1411js@daum.net
--------------------------------------------------------------------------------
하동 인재육성 장학기금 릴레이 출연 하동군장학재단, 5월 기관·기업·개인 등 각계각층 장학기금 기탁 줄이어
하동군의 100년 미래 인재육성을 위한 각계각층의 장학기금 출연이 지난 5월에도 계속 이어졌다.
8일 하동군장학재단(이사장 이양호)에 따르면 지난달 8일 금남면 대도에서 금모래힐링펜션을 운영하는 이영권·금화슬 부부가 하동의 미래를 이끌어갈 후학양성에 써달라며 장학기금 500만원을 기탁했다.
같은 날 ㈜이레전력 조순현 대표가 지역 학생들이 꿈과 희망을 키워 우수한 인재로 성장하는데 보탬이 되고 싶다며 200만원을 출연했다.
15일에는 청암면 봉화사 원상 주지스님이 자라나는 꿈나무들의 장학사업에 쓰였으면 한다며 지난해 500만원에 이어 올해도 300만원을 기탁해 현재까지 총 1300만원의 장학기금을 내놨다.
25일에는 하동소방서 성호선 서장이 모친상에 조의를 표해준 많은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담아 관내 학생들에게 의미 있게 쓰였으면 한다며 100만원을 기탁했다.
이양호 이사장은 “각계각층에서 출연한 장학기금이 하동의 미래 인재를 키우는 주춧돌 역할을 하고 있다”며 “출연자 여러분의 관심과 따뜻한 온정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임만규 기자] 1411js@daum.net
--------------------------------------------------------------------------------

박경리문학관 사진작가 박대엽 초대전 하동군, 박경리문학관 세미나실 문학&생명…8월 말까지 ‘문학과 바다展’
지리산에서 바다의 아름다운과 시원함을 선사하는 사진작가 박대엽 초대전이 소설 <토지>의 무대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서 열린다.
박경리문학관(관장 최영욱)은 여름이 시작되는 6월부터 오는 8월말까지 문학관 세미나실 ‘문학&생명’에서 박대엽 초대전 ‘문학과 바다展’을 연다고 8일 밝혔다.
초대전에는 오랫동안 남해바다의 아름다운 풍경을 카메라에 담아온 박대엽 작가가 새롭게 선보이는 ‘노도가 잠기다’, ‘두모 운해’, ‘보리암 잔설’, ‘은모래 안개’ 등 25점이 전시된다.
박대엽 작가는 “그동안 남해의 땅끝, ‘미륵을 도운 땅’ 미조항에서부터 750리 바닷길을 돌며 남해바다의 이야기를 카메라에 담아왔다”며 “제 작품을 통해 어떤 감동 또는 울림이 남길 바란다”고 초대전을 갖는 소회를 밝혔다.
최영욱 관장은 “박대엽 작가의 사진 작품은 그저 아름다운 풍광을 포착하는데 그치지 않고 많은 문학적·예술적 영감을 주는 확장성을 내포하고 있다”며 “문학관 내방객들은 더운 여름에 지리산에서 바다의 아름다움과 시원함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대엽 작가는 한국사진협회 회원으로 개인전 5회를 비롯해 국제교류전 등에 참여해왔고, 전국사진공모전에 다수 입상 및 입선했으며, 현재 남해 미조에서 촌놈횟집을 운영하고 있다.
시인이자 평론가 황봉구씨는 “작가의 주요 활동무대는 물리적·영토적으로 협소하고 한정된 곳이지만 그의 눈과 사유는 이와는 전혀 상관없이 무한으로 연결돼 있다”며 “대상이 지니고 있는 본디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발견해 작품으로 창작하고 있다:고 높게 평가했다.
[지리산고향뉴스/임만규 기자] 1411js@daum.net
--------------------------------------------------------------------------------

결혼이민여성 기초농업교육 개강 하동 옥종농협, 2018 기초농업교육 개강식…9월 11일까지 총 15회 진행
하동 옥종농협(조합장 정명화)은 지난 5일 농협 2층 소강당에서 결혼이민여성과 1대 1 맞춤 농업교육의 멘토 농가주부모임 회원, 돌봄 봉사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8 결혼이민여성 기초농업교육’ 개강식을 가졌다고 8일 밝혔다.
결혼이민여성 기초농업교육은 이날 개강식을 시작으로 오는 9월 11일까지 하루 3시간 총 15회 교육이 진행된다.
교육과정은 기초단계 농업교육이지만 실습위주의 교육과 약선 음식 교육, 우리 농산물을 이용한 전통 발효식품 교육, 블로그를 활용한 농산물 판매방법 및 스마트폰 마케팅 판매전략 교육 위주의 e-비지니스 교육 등으로 구성된다.
옥종농협은 이번 기초농업교육을 통해 농촌 결혼이민여성들이 지역사회 가족 구성원으로서 꿈과 희망을 키우고 농촌생활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명화 조합장은 개강식에서 “이번 교육이 결혼이민여성의 한국농업 접근성을 높여 주길 기대하며 앞으로도 결혼이민여성의 정착을 돕기 위해 모국방문 지원, 다문화가족 농촌정착지원과정 연수, 다문화가족 전용상담 창구 등의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임만규 기자] 1411js@daum.net
--------------------------------------------------------------------------------


하동 옥종 13명의 무명용사에 헌화 하동 옥종초, 2018 나라사랑 실천의 날 전교생 옥종 무명용사 충혼탑 참배
하동 옥종초등학교(교장 김태세)는 나라사랑 실천의 날 행사 일환으로 지난 7일 전교생이 옥종 무명용사 충혼탑을 참배했다고 8일 밝혔다.
옥종초등학교는 호국보훈의 달 6월을 맞아 평소 잘 알지 못했던 우리고장의 현충시설인 옥종 무명용사 충혼탑을 탐방했다.
학생들은 현장에서 충혼탑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대표학생들이 충혼탑에 헌화한 후 모두가 묵념을 통해 무명용사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가졌다.
매년 하는 행사이지만 전교생이 모두 참여함으로써 어릴 때부터 우리고장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나라를 위해 희생한 무명용사들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소중할 기회가 됐다.
2학년 한 학생은 “이곳을 지나다니면서 어떤 곳인지 몰랐는데 우리고장에도 이런 분들이 계시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됐다”며 “앞으로 지나갈 때마다 생각하고 감사한 마음을 가질 것”이라고 소감을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임만규 기자] 1411js@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