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힘이 불끈’친환경 하동부추 맛보세요 하동군, 겨울부추 수확 한창…옥종·적량 등 47㏊ 재배 80억대 소득 창출
자양강장의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진 친환경 하동부추 맛보세요.
하동군은 지난달 중순부터 지리산 일원의 비옥한 토지에서 자란 하동부추 수확을 시작해 이달 들어 본격적인 출하에 들어갔다고 15일 밝혔다. 겨울 부추는 4월 말까지 출하된다.
도내 최대 부추산지인 하동에서는 적량면(200동 15.5㏊)을 비롯해 옥종면(189동 16.8㏊), 북천면(100동 7.2㏊) 등 7개 읍·면 95농가(500동 47㏊)에서 연간 2300t을 수확해 70억원∼80억원의 소득을 창출하고 있다.
현재 하동에서 생산된 부추는 10㎏들이 1상자에 지난해와 비슷한 4만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주로 서울 가락시장과 대전 중앙청과 등에 출하된다.
특히 하동의 부추 공동브랜드인 ‘땅새미’ 상표로 출하되는 부추는 가락시장에서 상위 1∼2%에 포함될 정도로 품질이 좋아 타 시·군의 부추보다 10∼20% 높은 가격대가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하동산 부추는 물 맑고 공기 좋은 청정 지리산 기슭에서 정밀한 토양검사와 미생물 투입 등 친환경 맞춤식 농법으로 재배돼 향이 좋고 부드러워 소비자들로부터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한편, 부추는 ‘기양초(起陽草)’라 불릴 정도로 남성의 체력증진에 효과가 커고, 간 기능을 강화하는데 효능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동의보감>에 부추는 ‘간(肝)의 채소’라 해서 ‘김치로 만들어 늘 먹으면 좋다’고 했으며, <본초강목>에는 ‘부추 생즙을 마시면 천식을 다스리고 어독(魚毒)을 풀며 소갈(消渴)과 도한(식은땀)을 그치게 한다’라고 기술돼 있다.
부추는 또 자양강장의 효능 외에도 몸이 차가운 사람에게는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부추에 함유된 알릴설파이드라는 성분은 발암물질 독성을 제거하는 해독효소를 활성화시켜 위암․대장암․폐암 등 각종 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부추수요가 늘고 있다.
------------------------------------------------------------------------------------
세외수입·환경부담금 납부 편해졌다 하동군, 간편e납부 시행…납부고지서 없이 전국 어디서나 모든 카드로 납부
앞으로 지방세외수입과 환경개선부담금은 납부고지서 없이도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게 됐다.
하동군은 지난 14일부터 납부고지서 없이도 다양한 결제수단으로 전국 어디서나 지방세외수입과 환경개선부담금을 납부할 수 있는 ‘간단e납부’ 서비스를 시행했다고 15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납부고지서(OCR)를 공과금전용수납기에 넣거나 은행창구에 제출해야 지방세외수입, 환경개선부담금을 납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부터는 납부고지서를 가지고 가지 않아도 은행 현금입출금기에 통장 또는 신용(현금)카드를 이용해 납부할 수 있게 됐다.
본인의 카드·통장이 아닌 경우 또는 타인이 본인의 지방세외수입, 환경개선부담금을 납부하고자 할 경우 고지서상의 전자납부번호(19자리)만 알면 납부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거주 지역별로 납부 가능한 은행이 정해져 있었으나 앞으로는 전국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외수입, 환경개선부담금을 전국 모든 은행에서 납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은행 현금입출금기, 위택스(wetax.go.kr), 인터넷지로(giro.or.kr) 등에서도 국내 모든 신용카드로 수수료 없이 납부가 가능하다.
군 관계자는 “이번에 새로 시행되는 간단e납부 시스템은 납세자의 불편 해소를 위해 전국 공통적으로 도입되므로 군민들의 많은 관심과 이용을 바란다”고 말했다.
------------------------------------------------------------------------------------

하동 이장지회, 인재육성 장학기금 기탁 하동군, 일선행정의 주체 하동군 이장지회…하동장학재단에 130만원 쾌척
하동군 장학재단에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한 뜻 깊은 장학기금 기탁 열기가 이어지고 있다.
15일 하동군에 따르면 전국 이·통장연합회 하동군지회(지회장 송동근)는 이날 군청 소회의실에서 읍·면 이장지회 회원 등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3년 결산총회를 갖고, 회원들이 십시일반 정성을 모아 마련한 130만원을 지역 후학 양성을 위한 기금으로 써달라며 하동군 장학재단에 기탁했다.
하동군 이장지회는 일선행정의 주체로서 지역 발전을 위한 다양한 활동으로 행정과 군민의 가교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평소 지속적인 사회공헌으로 지역사랑을 앞장서 실천해오고 있어 군민들의 귀감이 되고 있다.
장학재단 관계자는 “2014년 연초부터 장학기금 기탁이 이어져 희망찬 새해를 맞이하고 있다”며 “기탁 받은 기금은 학생들의 학력 향상과 하동군의 교육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의미있게 사용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03년 명문교육 육성을 위해 설립된 하동군 장학재단은 유능한 지역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성적우수 중·고교생 장학금 지급, 명문대 입학생 장학금 지급, 고교생 통학버스 운영 지원 등 12년째 활발한 장학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
하동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하동군, 3월∼7월 상반기 프로그램 운영…내달 14일까지 참가 희망자 접수
하동군은 3월 3일부터 7월 31일까지 2014년 상반기 평생학습센터 프로그램을 운영키로 하고 참가 희망자를 모집한다고 15일 밝혔다.
평생학습센터 프로그램은 ‘평생학습도시’ 하동군이 군민에게 수준 높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인 교육 수준을 향상시키고, 질 높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상·하반기로 나눠 진행한다.
이번 상반기 평생학습센터 프로그램은 대상별(성인·노인), 시간대별(주간·야간반) 총 16강좌를 개설해 군민에게 맞춤형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반기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하는 군민은 평생학습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다음 내달 14일까지 전화(880-2181) 또는 메일(jhs0911@korea.kr)로 신청하면 된다. 선착순이다.
그 외 자세한 사항은 하동군 평생학습센터 홈페이지(http://educity.hadong.go.kr) 평생학습소식란을 참고하면 된다.
------------------------------------------------------------------------------------

하동소방서 의용소방대 간담회 개최 하동소방서, 의용소방대 활성화 방안 모색…소외계층 자원봉사도 확대
하동소방서(서장 안광두)는 지난 13일 대회의실에서 2014년 의용소방대 운영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안광두 서장의 주재로 열린 이날 간담회는 한성철 의용소방대연합회장과 각 지역대 대장 등 40여명이 참석해 의용소방대의 역할증대 방안과 소방서와의 협조체계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또한 2013년 의용소방대 운영성과 보고, 2014년 의용소방대 주요 업무 추진계획, 자율봉사단체로서의 봉사활동 영역확대, 의용소방대 육성을 위한 구축 방안 등에 대해 열띤 의견을 나눴다.
이와 함께 참석자들은 다양한 화재예방활동으로 하동군민의 안전지킴이로 자리매김하기로 뜻을 모았다.
안광두 서장은 “갑오년 한해도 지금까지 보여준 열정처럼 하동군민의 안전을 위해 각종 재난예방활동과 함께 소외계층에 대한 봉사활동도 확대해 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