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과 소리가 하나 되는 2013 구례동편제소리축제 및 제17회 송만갑판소리고수대회 개최
자연과 소리가 하나 되는 구례의 가을, 10월...
지리산과 섬진강을 무대로 펼쳐지는 동편제의 대향연 <2013 구례동편제 소리축제>가 전남 구례군 서시천 체육공원 일원에서 오는 10월 12일(토)부터 14일(월)까지 펼쳐진다.
동편제는 대마디대장단의 분명하고 담백한 맛과 남성적이며 활기찬 것이 특징, 구례를 중심으로 지리산과 섬진강 동편 일대, 남원과 순천 등지를 기반으로 성장했다. 구례는 송우룡과 송만갑, 유성준, 박봉래, 박봉술 등 당대 최고의 명창을 배출한 동편제의 본향으로 올해 5번째를 맞이하는 구례동편제소리축제에는 소리꾼들의 등용문인 제17회 전국 송만갑판소리․고수대회도 함께 개최된다.
축제 첫째 날(10/12,토)에는 “동편제 최고명창과 최고명인을 만나다” 개막공연에서 피아노의 거장 임동창 등을 비롯, 대금의 이생강, 차세대 소리꾼 조선하, 강민지, 양혜인 등의 축하공연과, 판소리·고수 부문 예선전이 진행된다.
둘째 날(10/13,일)에는 호남여성농악판굿의 입장굿, 오채질굿, 오방진굿, 구정놀이로 흥을 돋고, 판소리의 거장 송순섭, 성창순 명창들을 비롯해 가야금산조의 강정숙, 김일구류 아쟁산조의 김일구 공연 등 동편제 최고 명창․명인을 만날 수 있다.
또한 판소리고수대회 판소리 부문과 고수 부문 본선경연과 시상식이 진행된다.
마지막 날(10/14,월)에는 중요무형문화재인 ‘잔수농악공연’ 및 ‘구례향제줄풍류 공연’을 시작으로 폐막공연인 <동편제 젊은소리>는 박명언, 이영태 명창의 판소리와 차세대 명창들의 공연, 끝으로 소리를 예술로 승화시키는 조상현 명창의 수궁가 판소리로 꾸미는 신명나는 소리 한마당으로 3일간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된다.
섬진강을 돌아 지리산으로 울려 퍼지는 소리가락...
웅장하고 호방한 동편제 판소리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는 '2013 구례 동편제 소리축제'를 계기로 구례군에서는 동편제 판소리의 전통·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동편제 본류지로서 위상도 한층 더 다질 계획이다.
구례동편제소리축제의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guryesori.kr/)를 통해 알 수 있다.
------------------------------------------------------------------------------------

구례 산동면 주민자치위, 거제시민의 날 농특산물 판매 대박 산수유술 등 11개 품목 450만원 판매 성과 올려
산동면 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손순길)가 자매결연 단체의 초청 행사에서 지역 농특산물을 대량 판매하는 성과를 올려 자치기능을 십분 발휘하고 있다.
지난 10월 4일 제19회 거제시민의 날 행사에서 산동면 주민자치위원회는 450만원의 구례 농특산물을 판매하는 대박을 터트렸다.
이날 판매행사는 지난 7월 17일 자매결연을 한 거제시 상문동 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임혜숙)가 거제시민의 날을 맞아 산동면 주민자치위를 초청하여 행사장에 구례의 농특산물을 판매할 수 있는 부스를 배정하면서 추진됐다.
판매품목은 산수유술 등 11개 품목으로 산동면 주민자치위가 주체가 되어 물량을 확보, 공급했다. 판매결과 호박고구마 150만원, 산수유술 100만원, 쑥부쟁이 54만원, 뽕잎 18만원 등 총 45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특산물 판매장을 찾은 거제시민들은 국립공원 제1호이자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에서 재배한 농특산물에 도시민 특유의 호기심을 나타내며 적극적인 구매에 나섰다. 특히, 당일 최고의 매출을 올린 호박고구마는 높은 당도와 입맛을 돋우는 부드러운 식감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판매행사를 주관한 손순길 위원장은 “청정한 지리산에서 가꾼 농특산물이 웰빙식품을 선호하는 도시민의 뜨거운 호응을 받아 당초 판매전을 기획할 때보다 훨씬 큰 효과를 냈다”며 “이러한 상호 교환방문 행사가 앞으로도 계속돼 영호남의 화합은 물론, 주민자치위간의 본래의 기능과 취지를 높였으면 한다”고 이날 행사를 평가했다.
한편, 산동면 주민자치위원회는 오는 11월 산수유열매 체험축제에 상문동 주민자치위를 초청하여 상호 교류를 강화할 예정이며, 주민자치 프로그램의 교환공연 등을 통해 협력을 다져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