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경남 예비귀농·귀촌인 하동서 현장투어 하동군, 부산귀농운동본부·경남생태귀농학교 160명 선배 귀농인 농장 견학
부산·경남지역 예비귀농인들이 대한민국 귀농밸리 하동에서 선배 귀농인 농장을 견학하는 등 현장투어에 나선다.
하동군은 부산귀농운동본부(대표 권인근) 교육생 40명이 9월 1·2일과 15·16일 두 차례 하동군 일원에서 귀농·귀촌 현장투어를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또한 (사)경남생태귀농학교(학교장 이상돈)도 전체학생 120명이 3조로 나눠 1·2일, 8·9일, 15·16일 각각 1박 2일씩 총 세 차례 귀농·귀촌 투어교육을 이어간다.
부산귀농운동본부 현장투어는 1박 2일 과정의 모둠탐방과 단체탐방으로 진행되며 모둠탐방에서는 교육생의 관심 작목별로 조를 이뤄 하동읍 복합영농, 악양면 친환경 양계, 북천면 부추농장을 찾아 현장실습을 한다.
단체탐방에서는 하동군의 귀농·귀촌 정책과 농업현황을 소개 받고 옥종면 딸기, 북천면 부추 농장 등을 방문해 농가체험과 함께 선배 귀농인과의 대화의 시간을 갖는다.
경남생태귀농학교 현장투어 역시 1박 2일 과정으로 올 상반기 현장투어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된다.
생태귀농학교 학생들은 하동군의 귀농·귀촌 정책과 농업현황을 소개 받고 농업기술센터가 운영하는 농기계임대사업소를 찾아 농기계 운영 현황 및 농기계 용도 등에 대한 현장설명을 듣는다.
이어 적량면의 백향과 농장을 찾아 농장체험과 함께 선배 귀농인으로부터 체험담을 듣고, 차문화센터 및 차박물관, 선배 귀농인이 직접 운영하는 악양면 농·특산물 제조·가공공장, 적량면 체리·가지, 옥종면 부추 농장을 차례로 찾아 현장교육을 받는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귀농·귀촌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본인의 노력이 중요하므로 선배 귀농인을 적극 활용하고, 지역민들에게 먼저 다가가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이번 귀농·귀촌 현장투어가 농촌 정착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하동군은 귀농인 농업 창업 및 주택구입(신축) 지원사업, 영농정착 보조금 지원사업, 귀농인 농업인턴 지원사업, 선도농가 현장실습 교육, 귀농인 안정정착 지원사업 등 다양한 귀농·귀촌 지원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



청학골 어르신 21세대 집수리 봉사‘훈훈’ 하동군 청암면, 진주라이온스클럽 화월마을 독거노인·어려운 세대에 봉사활동
하동군 청암면은 국제라이온스협회 355-E지구 진주라이온스클럽(회장 신태근)이 지난 주말 화월마을을 찾아 주거환경이 열악한 어려운 세대와 홀로 사는 어르신 가정의 집수리 봉사활동을 펼쳤다고 28일 밝혔다.
1964년 창립한 진주라이온스클럽은 51명의 회원이 영농철 농기계 수리봉사, 저소득 가정 집수리 봉사, 어르신 의료 및 이·미용 봉사 등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치며 지역사회의 귀감이 되고 있다.
진주라이온스클럽 회원 20명은 주말에 쉬지 않고 화월마을을 방문해 어르신 가정의 현관 창호 및 방충망 설치, 전기공사, 문 수리 등 추운 겨울 따뜻한 보금자리에서 지낼 수 있도록 대대적인 주거환경 개선 사업을 펼쳤다.
깔끔하게 수리된 집을 본 어르신들은 “이렇게 관심을 가져 준 것도 고마운데 집까지 좋게 고쳐줘서 너무 감사하다”며 “여름철에 벌레 걱정 없이 문을 열어 놓고 겨울에도 따뜻하게 지낼 수 있겠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신태근 회장은 “주말인데도 이른 시간부터 오후까지 봉사활동에 동참해 준 회원들에게 고마움을 전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이웃사랑을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최춘환 면장은 “사랑의 손길로 어려운 이웃에게 따뜻한 보금자리를 선물한 진주라이온스 클럽 회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앞으로도 지역의 봉사단체와 협력해 소외된 이웃의 복지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하동군, SFTS·쯔쯔가무시증 감염 주의…긴옷 착용 등 예방수칙 준수 당부
하동군은 야외활동을 할 때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나 쯔쯔가무시증을 옮기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SFTS는 ‘살인진드기’라 불리는 ‘작은소참진드기’가 옮기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진드기가 원래 기생하던 들쥐나 야생동물을 대신해 우연히 사람을 물 경우 감염된다.
모든 야생 진드기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은 아니며, 조사된 바에 의하면 0.5% 정도의 진드기가 감염돼 있다.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4∼15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오심·구토·설사·식욕부진·출혈성 소견 등이 나타나며, 검사소견으로는 혈소판과 백혈구 감소가 대표적이다.
SFTS는 별다른 예방접종이나 효과가 확인된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이다.
쯔쯔가무시증은 주로 털진드기 유충에 의해 감염되며, 보통 1∼3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오한·두통 등의 초기증상을 보이다가 근육통·기침·구토·복통·인후염이 동반되며 발진과 가피가 나타난다.
SFTS는 주로 4∼11월, 쯔쯔가무시증은 10∼11월에 많이 발생하므로 이 기간 야외활동이나 야외작업을 할 때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팔·긴 옷을 착용하고 피부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또한 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에 옷을 벗어두거나 드러눕지 않아야 하며, 작업할 때는 일상복이 아닌 작업복을 구분해서 입고,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며 장화를 신는 것도 예방법이다.
야외활동 시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도 일부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야외활동 후에는 즉시 샤워를 하고 입고 있던 옷은 반드시 세탁을 해야 한다.
그리고 야외활동 후 발열, 설사·구토 등 소화기 증상, 전신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보건소 관계자는 “진드기에 의한 감염병에 대비해 오는 11월까지 ‘대책반’을 가동하면서 지속적인 방역활동을 실시한다”며 “무엇보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군민 스스로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



하동 금성면‘우리 동네 가수왕’성료 하동군 금성면, 서경방송 면민 노래자랑…가요TV ‘가요는 즐거워’ 동시 촬영
하동군 금성면은 지난 주말 생활체육공원에서 면민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가요TV의 ‘가요는 즐거워’와 서경방송의 ‘우리 동네 가수왕’ 노래자랑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초청가수 공연과 면민 노래자랑을 함께 진행함으로써 면민에게 위안을 주고 금성면의 홍보 기회로 삼고자 금성면 청년회(회장 엄수진) 주관으로 마련됐다.
특히 ‘우리 동네 가수왕’ 노래자랑에는 면민 15명이 참가해 평소 갈고 닦은 노래 실력을 뽐냈으며, 초청가수 축하공연도 함께 펼쳐져 참석자들에게 큰 즐거움을 선사했다.
노래자랑에서는 연막마을 노해숙(61)씨가 대상을 차지한 것을 비롯해 궁항마을 전상도(59)씨가 최우수상, 신도마을 이영훈(51)씨가 우수상, 용포마을 김영미(49)씨가 장려상, 청도마을 박두야(80)씨가 인기상을 안으며 큰 박수를 받았다.
이현승 면장은 “이번 행사는 가요TV 및 서경방송 방송촬영을 통해 금성면을 홍보하고 면민 노래자랑을 통해 함께 어울리는 소통의 장이 된 것 같아 기쁘다”며 “행사에 참여한 모든 분들이 행복한 추억이 되셨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


하동초 관악부 전국 경연대회 금상 쾌거 하동초, 하동초 거점 윈드오케스트라 제43회 대한민국 관악경연대회 준우승
하동초등학교(교장 이춘호)는 해피하모니 거점 윈드오케스트라(단원 75명)가 지난 24일 김해서부문화센터에서 열린 제43회 대한민국 관악경연대회에 참가해 금상(준우승·특별부 학생부문)의 영광을 안았다고 28일 밝혔다.
하동초는 1995년 관악부를 창설한 이래 매년 지역 현충일 추념행사, 각종 학예술 발표대회, 정기 연주회(7회), 관악경연대회 입상 등 활발한 관악 연주활동을 펼치며 지역 예술 활동에 기여하는 연주 단체로서 명실상부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하동초는 이런 성과를 발판 삼아 올해 경남도교육청으로부터 지역 거점 윈드오케스트라로 지정돼 지난 5월부터 본교 단원 64명과 지역 초·중·고 단원 11명 등 전체 75명의 더욱 짜임새 있는 관악부의 모습으로 새로이 꾸려졌다.
이에 따라 하동초 거점 윈드오케스트라는 이번 대회에 예년 출전 분야와 달리 올해 처음으로 특별부(학생부문)에 출전함으로써 기존 초등학교의 수준을 넘어 각종 학교기관 외의 연주 단체들과 당당히 겨루게 됐다.
뿐만 아니라 결성 이후 짧은 기간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초·중·고 학생들이 이뤄낸 성과로 그 실력이 손꼽히는 수준으로 발돋움했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6학년 악장은 “올해 거점 윈드오케스트라로 거듭나면서 선후배와 함께 연주하니 오늘이 꼭 대회가 아니라 우리가 이번 대회에 연주했던 곡 ‘Festa Paesana(이탈리아 마을축제)’처럼 마치 축제를 벌이는 것 같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지역의 한 중학생은 “초등학교에서 배운 트럼본을 다시 연주하고 싶었는데 거점 윈드오케스트라가 생겨 소질을 계발해 더욱 발전시킬 수 있어 좋았다”며 “우리의 노력으로 큰 상을 받게 돼 선후배, 친구들과 너무 기쁘다”고 말했다.
관내 초등학교 3학년 한 학부모는 “아이가 다니는 소규모 초등학교에서는 관악부 활동을 쉽게 접할 수 없어 아쉬웠는데 거점 윈드오케스트라가 창단돼 다른 학교 언니 오빠들과 연주하는 모습을 보니 대견하고 농어촌의 예술교육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