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동 명품 농특산물 5000만달러 수출 청신호 하동군, 햇배 200t 호주 수출계약…새송이·밤·파프리카·참숭어 등 수출 대기
하동군이 올해 명품 농·특산물 수출목표 5000만달러 달성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동군은 지난 7월 25일∼8월 4일 민선7기 첫 해외시장개척에서 1350만 달러어치의 수출협약을 체결한데 이어 지난달 23일 하동 햇배 500만 달러어치의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군은 이상진 GS트레이드 대표를 초청한 가운데 이날 군수 집무실에서 하동군과 하동농협, GS트레이드가 하동 배 200t 500만 달러어치를 호주에 수출하기로 했다.
수출계약을 체결한 GS트레이드는 하동섬진강쌀, 매실액기스, 감말랭이 등 하동산 우수 농·특산물을 호주·동남아 등에 전문적으로 수출하는 바이어 업체로, 이날 계약한 하동배는 출하시기에 맞춰 내달 중순부터 순차적으로 선적된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미국시장에 국내 신선농산물을 수출하는 (주)누림트레이딩 연준용 대표가 동행해 전국 최대 규모의 새송이버섯을 생산하는 옥종면 소재 남경오가닉팜을 찾아 미국시장 수출 가능성을 타진했다.
군은 유럽시장으로 수출되는 새송이버섯의 미국시장 공략을 위해 유대인에게 허락된 식품이란 뜻의 ‘코셔’ 인증을 받고자 지난달 행정지원으로 초청된 미국 전문컨설팅 업체로부터 컨설팅을 받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군은 또 이달 하순 민선7기 두 번째 미국·캐나다 등 북미시장 개척에 나서는 한편, 9월 출하되는 배·밤을 필두로 11월에 생산되는 참다래·파프리카·감말랭이·참숭어 등의 수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윤상기 군수는 “청정 지리산과 섬진강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이 세계 각지에서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며 “해외시장개척과 함께 할랄·코셔 등 각국의 수입기준을 충족시키고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만큼 수출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


행복 배달하는 빨간 자전거가 달려갑니다 하동군, 우체국과 빨간 자전거 활성화 변경협약…취약계층 민원서비스 강화
집배원을 통해 노인인구가 많은 하동지역 취약계층 주민들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각종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복배달 빨간 자전거’ 사업이 한층 활성화된다.
하동군은 취약계층 주민에게 맞춤형 민원서비스를 제공하고자 2013년 10월 하동우체국과 ‘행복배달 빨간 자전거’ 사업 협약을 체결·시행했으나 시대흐름의 변화에 따라 최근 그에 걸맞은 내용으로 변경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군은 2013년 협약에 따라 그동안 행정에서 주민들에게 전달할 내용을 우편물로 만들어 집배원을 통해 주기적으로 가정에 배달하고, 해당 주민의 생활실태를 파악해 이상 징후가 발견될 경우 즉시 행정에 통보해 조치하도록 했다.
또한 노인이나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취약계층 주민이 집배원에게 민원서류를 신청하고 전용계좌에 수수료를 납부하면 민원서류를 발급해 등기로 집까지 배송해 주는 서비스도 시행했다.
그 외에 집배원이 지역을 순회하다 위험사항 등을 발견할 경우 스마트폰 앱을 통해 제보하면 확인을 거쳐 해결해주는 내용도 포함됐다.
하지만 전자통신의 발달과 시대적 흐름의 변화로 협약 내용을 시대의 흐름에 걸맞도록 변경해 평상시 집배원이 우편물을 배달할 때 주민들의 근황을 살펴보고 이상이 있을 때 행정에 알리도록 했다.
거동불편 주민의 민원서류 배달은 본인확인이 불필요한 서류의 경우 집배원에게 신청하면 담당공무원이나 마을이장을 통해 직접 배달하면서 수수료도 징수하기로 변경했다.
행복배달 빨간 자전거 사업은 하동우체국에 소속된 집배원 37명이 하동읍과 진교면 등 2개 센터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윤상기 군수는 “지역 구석구석을 방문하며 군민의 손과 발 역할을 하는 집배원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며 “공무원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까지 잘 살펴 주기를 바라며 연말에는 표창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취약계층 주민을 위한 여권 무료 배송서비스와 매주 월요일 저녁 8시까지 근무하는 야간 민원실, 매일 1시간 먼저 민원창구 개방 등의 민원서비스를 운영해 군민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
하동지역 무허가 축사 적법화 비용 지원 하동군, 적법화 완료 중·소규모 농가에 측량수수료·건축설계비 등 최대 100만원
하동군은 축산농가의 재정 부담을 덜어주고 무허가 축사의 적법화 참여를 유도하고자 축사 적법화 비용을 지원한다고 11일 밝혔다.
군은 3억여원의 사업비를 들여 한우·젖소 100두 미만, 돼지 500두 미만, 가금류 1만수 미만 소·중규모 농가 중 연차적으로 적법화를 완료한 농가에 대해 측량수수료·건축설계비 등 최대 1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축사 양성화 허가를 받은 농가는 허가내용대로 사업을 시행하고 가축분뇨배출 사용승인 또는 건축물 준공을 받은 후 무허가 축사 적법화 지원사업 서류를 작성해 읍면사무소 등에 신청하면 된다.
또한 적법화 연장 신청을 위해 지난 3월 24일까지 간소화된 배출신고서를 제출한 농가 중 아직 적법화를 완료하지 못한 농가는 오는 27일까지 군에 적법화 이행계획서를 제출해야 농가별로 최대 1년에서 6개월까지 연장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군은 적법화를 추진 중인 농가에 대해 건축사무소를 통해 이행계획서를 접수할 계획이고, 그 외 농가는 측량성과도 또는 측량을 하겠다는 계약서를 첨부하면 이행계획서를 제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제출을 당부했다.
군 관계자는 “건축물·분뇨배출 등 분야별로 해당 부서에서 무허가 축사 적법화를 추진하는 농가의 개별상담 및 인허가 절차 안내 등 축산농가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행정지원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


하동 금오산 짚와이어 개통 1주년 이벤트 하동알프스레포츠, 개통 1년 3만명 돌파…13일 탑승료 30% 할인·기념품 증정 하동군의 대표적인 어드벤처 레포츠시설인 ‘아시아 최장’ 금오산 짚와이어가 개통 1주년을 맞아 할인 이벤트를 마련한다.
하동알프스레포츠(대표이사 조성제)는 오는 13일 짚와이어 개통 1주년을 맞아 할인행사와 기념품 증정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1주년 이벤트는 당일 모든 탑승객에게 정상가의 30%를 할인해 주고 기념품도 증정하며, 짚와이어 출발인 금오산 정상에서 알프스레포츠 관계자들과 기념 촬영도 실시할 예정이다.
금오산 짚와이어는 지난해 9월 14일 개통 이후 202일 만인 지난 4월 4일 탑승객 1만명을 돌파했으며,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타면서 이후 4개월 동안 2만명이 추가 탑승해 지난달 13일 3만명을 넘어서는 등 국내 최고의 인기 레포츠시설로 자리매김 했다.
하동군이 추진 중인 금오산 어드벤처 레포츠단지 조성사업의 주요 시설인 짚와이어는 총연장 3.186㎞의 아시아 최장으로 2라인 3구간으로 구성돼 있다.
남해안 일대에서 가장 높은 해발 849m의 금오산 정상에서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절경을 감상하면서 최고 시속 120㎞ 하강하며 약 7분간의 스릴을 만끽할 수 있다.
조성제 대표이사는 “개통 1주년을 맞아 그동안 금오산 짚와이어를 사랑해 준 탑승객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현재 사업이 추진 중인 금오산 케이블카, 알파인 코스터 등과 연계해 전국 최고의 레포츠 단지가 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
하동군 메르스 비상방역대책본부 가동 하동군, 메르스 발생국 자제 당부…여행 후 발열·기침 땐 1339 전화 신고
하동군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환자 발생 이후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이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군민에게 이 같은 사실을 알리고 메르스 비상방역대책본부를 가동하며 메르스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군은 또 65세 이상, 어린이, 임산부, 암투병자 등 면역저하자의 여행 자제를 주문하고, 메르스 예방 행동수칙을 철저히 지킬 것을 당부했다.
부득이 메르스 환자 발생국을 여행할 때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여행 중 농장 방문을 자제하며, 특히 낙타 등 동물은 접촉하지 말아야 하고,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나 생낙타유는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진료 목적 이외 현지 의료기관이나 사람이 분비는 장소는 방문을 자제하되 불가피할 경우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을 피하고, 만약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하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려야 한다고 밝혔다.
군은 여행 후 입국 시 건강상태 질문서를 성실히 작성하는 등 검역에 적극 협조하고, 귀국 2주 이내 발열, 기침, 숨 가쁨 등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말고 1339 또는 보건소로 유선(055-882-4000, 880-6633)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


빛으로 여는 세상, 상상의 세계로 GO 하동교육지원청, 하동영재교육원 학생 57명…2018 하계 대구과학관 캠프
하동교육지원청(교육장 한지균)은 지난 주말 국립대구과학관 내 천지인학당에서 2018 하동영재교육원 하계 과학캠프를 운영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과학캠프는 당초 지난달 24일 열릴 예정이었으나 제19호 태풍 ‘솔릭’의 영향으로 연기돼 지난 주말·휴일 1박 2일간 일정으로 진행됐다.
‘빛으로 여는 세상, 상상의 세계로 GO’를 주제로 한 이번 캠프는 57명의 학생이 참가해 태양관측, 형광 LED메모보드, 환등기 만들기, 콘덴서 비행기, 3D 프린터 피젯스피너 제작 등 실습 및 체험중심으로 실시됐다.
특히 참가 학생들은 망원경 조립 및 설치 과정을 직접 조작하는 과정을 통해 야간 별자리 관측의 기쁨을 두 배로 맛보는 기회를 가졌다.
하동영재교육원은 평소 다양한 현장체험학습을 통해 살아있는 정보를 체득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핵심역량으로 자신의 꿈과 끼를 발견해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상 구현에 앞장서 왔다.
한편, 하동영재교육원은 오는 11월 중 하동군장학재단의 도움으로 일본 국외체험학습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미래 꿈에 대한 동기부여와 비전을 가진 인재 육성에 더욱더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