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군, 벼 완전 물떼기 적기 실시 당부
출수기 30~40일 전후로 완전 물떼기 실시해야 완전미 비율 높아져
전남 구례군은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 ‘벼 논물 관리 및 수확 기술 홍보’에 적극 나선다.
조생종 벼(주로 전남1호)의 수확이 진행되고, 마늘ㆍ시금치ㆍ김장 채소 파종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중만생종 벼(주로 신동진, 새청무, 참동진) 수확을 앞당기기 위해 다소 일찍 완전 물떼기를 실시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완전 물떼기는 벼 파종부터 수확까지 기간 중 쌀 품질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논물을 완전히 떼는 시기는 기상ㆍ토성 등에 따라 다르나 충분한 여묾을 위해서는 이삭 팬 후 30~40일경이 적당하다.
물떼기 시기가 적기보다 빨라지면 청미, 미숙립 등 불완전미가 증가하여 수량과 품질이 저하되고, 너무 늦게 떼면 수확 작업이 늦어져 동할미(깨진 쌀)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
농업기술센터 박근규 소장은 “수확 적기는 조생종은 출수 후 45~50일, 중생종은 출수 후 50~55일, 중만생종은 출수 후 55~60일이 적기라고 밝히며, 완전 물떼기와 수확을 적기에 실시하여 고품질 쌀을 생산하자”고 당부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
구례라이온스클럽, ‘따뜻한 명절 나기’ 취약 가정 도배장판 교체 지원
전남 구례군은 구례라이온스클럽(회장 권종훈)에서 지난 8일(일) 저소득 사례 관리 대상 가정에 ‘따뜻한 명절 나기’ 도배 및 장판 교체 사업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지원된 가정은 용방면의 청장년 단독가구로, 집 벽면이 상당 부분 얼룩지고 장판도 찢어져 집안 전체에 대한 도배와 장판 교체 작업이 진행됐다.
권종훈 구례라이온스 회장은 “명절이 다가올수록 상대적으로 소외감이 들 수 있는 세대에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지원하게 되어 기쁘다”며 “ 앞으로도 꾸준히 지역사회를 섬기는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순호 군수는 “관내 저소득가정에 다양한 나눔과 봉사활동을 해주시는 구례라이온스클럽과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
-------------------------------------------------------------------------------------
구례 탄소중립 흙 살리기 박람회,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풍성
전남 구례군이 탄소중립 흙 살리기 박람회 준비로 분주하다.
전국 최초로 열리는 탄소중립 흙 살리기 박람회는 9월 20일부터 22일까지 구례실내체육관 일원에서 열린다.
군은 이번 박람회를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전시로 풍성하게 채워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의 오감을 만족시킬 예정이다.
구례군 친환경 농가에서 가져온 흙으로 만든 ‘흙 벽’ 포토존이 눈에 띈다. ‘흙의 얼굴’,‘흙의 시간, 역사를 마주하다’라는 주제로 군민과 예술가가 함께 만든 포토존은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행사장 주무대 옆에 조성된 탄소제로(ZERO) 흙 놀이터는 오직 자연 속 흙과 나무로 만들어진 공간으로,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마음껏 뛰어놀며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꿈꾼다.
구례실내체육관 인근에는 다양한 분재 전시와 함께 DIY 소품 만들기, 목재 문화 체험 등이 마련되어 가족 단위 관람객들에게 큰 인기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9월 21일(토) 주무대에서는 지리산 식물 세밀화, 흙 살리기 포스터 등을 대상으로 한 공모전 시상식이 열린다. 또한 남도 전통 음식 명인명장 정금례와 함께하는 쿠킹 클래스와 구례 특산물을 활용한 브런치 요리 특강도 진행된다.
박람회 기간 지리산둘레길 구례센터에서는 현대 한국 산수화의 대표 작가인 류재춘 작가의 수묵화 전시전이‘세계의 K-수묵’을 주제로 개최된다.
김순호 군수는“이번 박람회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 배울 거리가 많다”며, “많은 분들이 오셔서 탄소중립과 흙 살리기의 가치를 직접 느껴보시고 더 나은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리산고향뉴스]
www.jsgh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