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국악원의 <이야기가 있는 판소리 - 담판>
심청을 죽음으로 내모는 결정적 사건의 등장
- 6월 27일 예원당, ‘심청가 중 심청의 성장과 공양미 삼백석’ -
- 객석 띄어 앉기로 선착순 예약 100명 한정 운영 -
국립민속국악원(원장 왕기석) 6월의 <이야기가 있는 판소리-담판>은 심청가 중 “심청의 성장과 공양미 삼백석”을 주제로 6월 27일(토) 오후 3시,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에서 펼쳐진다.
<이야기가 있는 판소리-담판>(이하 담판)은 판소리의 인류무형유산으로 가치를 극대화하고 관객들에게 판소리의 인문학적 지식을 향상시켜주는 해설이 있는 판소리 공연이다. 심청가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올해 담판에서는 풀이꾼 원기중(국문학 박사, 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외래교수)과 이야기꾼 왕기석(국립민속국악원 원장,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 판소리 수궁가 예능보유자)의 진행으로 매달 명창들의 판소리를 감상할 수 있다.
6월 27일에는 국립민속국악원에서 활동하고 있는 방수미, 김송 명창이 판소리를 들려준다. 이날 감상할 대목은 심청의 밥 동냥 대목부터 시작해 장승상댁 부인 만나는 대목, 심봉사 물에 빠지는 대목, 화주승에게 공양미 삼백석 약속하는 대목이다.
<담판>은 카카오톡 채널 및 네이버 포스트에서 공연의 내용을 미리 만날 수 있으며, 네이버 오디오 클립을 통해 음원 감상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서비스를 계속 추진 중이다.
국립민속국악원에서 진행되는 공연은 생활 속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객석 띄어 앉기를 운영 중에 있으며, 사전예약을 통해 선착순 100명만 관람 할 수 있다. 예약은 전화(063-620-2324~5) 혹은 카카오톡 채널(상담직원과 대화)을 통해 가능하다.
국립민속국악원 <이야기가 있는 판소리-담판>
판소리 심청가 中 “심청의 성장과 공양미 삼백석”
□ 개요
ㅇ 6월 주제: 심청가 중 “심청의 성장과 공양미 삼백석”
- 소리대목: 단가 ‘사철가’, ‘심청 밥 동냥 대목 ~ 화주승에게 공양미 삼백석 약속하는 대목’
ㅇ 공연일시: 2020. 6. 27.(토) 오후3시
ㅇ 공연장소: 예원당
ㅇ 관람료: 무료 (선착순 100명 예약제)
□ 진행자 소개
ㅇ 이야기꾼 / 왕기석
- 현, 국립민속국악원 원장
- 전라북도무형문화재 제2호 판소리 수궁가 예능보유자
- 제31회 전주대사습놀이전국대회 ‘판소리’ 명창부 장원(대통령상) 수상
- 국립창극단 최연소 정단원 입단, 다수 창극 공연 주역
- 정읍사국악원 단장 역임
ㅇ 풀이꾼 / 원기중
- 국문학 박사(판소리미학)
- 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외래교수
- 군산대학교 출강
-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외 다수 판소리공연 해설진행
□ 판소리 출연자 소개
ㅇ 판소리 / 방수미
- 현, 국립민속국악원 창극단 지도단원
- 2012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오늘의 젊은 예술가의 상 수상
- 2016 박동진 판소리명창명고대회 대통령상 수상
- 2018 KBS국악대상 수상
- 2018 문재인 대통령 유럽순방 기념 문화사절단
- 국악방송 온고을상사디야 진행
ㅇ 판소리 / 김 송
- 현, 국립민속국악원 창극단 총무
- 제20회 박동진 명창명고대회 대통령상 수상
-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29-2호 춘향가 이수자
-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흥보가 이수자
- 판소리 심청가 발표회 다수
ㅇ 고수 / 서은기
- 국립민속국악원 기악단 악장
- (사)일통고법보존회 정회원
-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고법 이수자
□ “담판”이 궁금하시다면?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국립민속국악원]
www.jsgh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