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보람이란 무엇인가
전) 남원문화원장, 남원학연구소 | 노상준
우리에게 삶의 보람이란 무엇인가.
나이가 적든 많든 삶의 보람을 찾아야 한다.
생활 여건에 따라 보람의 척도는 다르다. 도대체 우리 삶을 사는 목적은 무엇이며 또 보람은 무엇일까?
수많은 선각자도 답을 주지 못한다. 그러나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보람이란 아이디어 개발을 통한 자기 발전이라는 것이다. 성공한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삶의 보람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가 놀랍게도 모두 아이디어 개발을 통한 자기 발전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즉, 성공한 사람은 하나 같이 자신의 성공을 위하여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그것을 실현하고자 노력하면 그것이 곧 삶은 보람이라 믿고 있었다. 대다수의 많은 사람들은 성실한 사회생활과 수신제가면 만족과 보람을 느끼며 살고 위정자는 국가나 지역 발전을 위해 선정을 베풀어 추앙 받는 것이 큰 보람 일 것이요. 노년의 홀로 사는 분은 가족과 친지와 더불어 어울리며 건강이 사는 것이 보람 일 것이다. 자기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란 무한한 노력과 아이디어가 전제된다. 대부분 현대인은 삶의 보람을 일에서 찾는 경향이 많다. 시대가 갈수록 평생 직장시대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에 평생직장을 가지려면 일을 통해 사는 보람을 찾아야 한다고 나는 강조하고 싶다.
평생직장이란 회사나 가정뿐 아니라 자신을 위한 것임으로 막연한 삶이 아닌 보람 있는 삶을 영위하기 위한 것이다. 자기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하지 않은 사람은 발전도 없고 사는 보람도 찾지 못한다.
정상에 오를 수 있는 사람은 이미 태어날 때부터 정해져 있다고 믿는 사람이 많다. 이 때문에 도전해 보지도 않고 자포자기한 사람도 많은 것이다.
인스턴트식품 중 으뜸으로 손꼽이는「라면」에 대한 일화를 담아본다.
라면은 1958년 일본에서「안도모모후쿠」가 발명 시판되기 시작하였다. 1945년 제2차 대전 패배 후 일본은 건국 이후 최대 고난기였다. 일본인은 쌀밥을 주식으로 하는 식습관 때문에 미국의 잉여 농산물인 밀가루를 지원받아 빵을 만들어 연명 할 수만은 없는 때가 있었다. 이때 식품개발은 생각하는 사람이 「안도」였다. 그는 어느 날 술집에서 튀김을 기름에 튀기고 있는 것을 보았다.
맑은 기름에 밀가루 반죽을 묻힌 생선을 넣은 순간 밀가루 속에 작은 구멍이 무수하게 생기는 것을 관찰 한 것이었다. 튀기는 원리를 응용하여 처음 라면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밀가루를 국수로 만들어서 기름에 튀겨보았는데 국수속의 수분이 증발되면서 무수한 구멍이 나고 뜨거운 물을 부었더니 작은 구멍에 물이 들어가면서 먹음직한 국수가 되는 것이었다. 이렇게 조금만한 연구가 라면개발에 성공하고 발명가라는 명예까지 얻게 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작은 연구를 통해 오늘날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라면이 탄생하였고 작은 아이디어 하나가 세계인의 식생활에 영향을 준 것이다.
우리 삶의 보람은 결국 자기개발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