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예방이 최선!!
남원경찰서 중앙지구대 경장 김주신이
지구대에서 근무를 하다보면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어 신고를 하는 경우를 자주 본다.
‘보이스피싱’은 주로 금융 기관이나 유명 전자 상거래 업체를 사칭하여 불법적으로 개인의 금융 정보를 빼내어 범죄에 사용하는 행위. 음성(voice)과 개인 정보(private data), 낚시(fishing)를 합성한 용어이다.
몇 년전만 해도 어수룩한 한국말로 전화를 하여 개인정보 및 금융 정보에 접근하여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알아챌 수 있을 정도였으나 최근에는 수법이 보다 교묘해지고 다양해져서 남녀노소 불문하고 많은 피해자들이 발생하고 있다.
보이스피싱의 수법에는 ‘정부기관 사칭형’, ‘대출사기형’, ‘몸캠 피싱’, ‘가족 납치형’ 등이 있다.
‘정부기관 사칭형’은 경찰‧검찰‧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하여 피해자에게 금전 및 개인‧신용 정보들을 요구하는 수법으로, 피해자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어 있다고 속여 금전이나 개인정보를 요구한다. 그러나 경찰 등 수사기관은 수사를 진행할 때 금전이나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대출 사기형 보이스피싱’은 최근 신고가 많이 들어오는 형태로 대출이 필요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저금리 전환, 대출 수수료 등 대출과 관련하여 금전을 요구하는 수법이다. 1, 2금융권 대출이 불가능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저금리, 고액 대출이라고 속인 뒤 얼마의 돈을 입금시키거나, 저리로 대환대출을 권유하는 방식을 취한다. 대환대출은 반드시 정식 금융회사를 통해 진행하는 것이 보이스피싱의 피해를 입지 않는 기본임을 기억해야 한다.
‘몸캠피싱’은 화상 채팅을 통해 돈을 요구하는데 주로 카카오톡 같은 채팅앱에서 발생하는 범죄로 성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대화로 접근한 후 몸캠채팅을 제안하여 녹화 후 동영상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하여 돈을 요구한다.
‘가족 납치형’은 가족이나 지인이 사고를 당했다거나 납치되었다고 속여 입금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이런 전화를 받을 경우 우선 당사자에게 연락하여 신변을 확인해야 하며 당사자가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112에 신고하는 것이 좋다.
이 밖에도 여러 다양한 수법의 보이스피싱으로부터 안전하려면 보이스피싱의 수법과 예방방법에 대해서 평소에 알아두고, 조금이라도 의심이 가면 설마라는 안이한 생각을 버리고 경찰에 신고하여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다.
[지리산고향뉴스/사진제공=남원경찰서]
www.jsghnews.com